새소식

DataBase/MySQL

sql - 💬 DDL, DCL, DML, TCL

  • -

DDL

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/ 스키마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.
- CREATE :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
- ALTER : 데이터베이스 구조 변경
- DROP :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
- RENAME : 데이터베이스 객체 이름 변경
- COMMENT : 데이터 주석 등을 추가
- TRUNCATE : 모든 레코드 제거

DML

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.
- SELECT  : 테이블에 데이터 검색
- INSERT  : 테이블에 데이터 삽입
- UPDATE  : 테이블에 데이터 수정
- DELETE  : 테이블에 데이터 삭제
- 기타 등등

DCL

데이터베이스에 권한 부여하는데에 사용된다.
- GRANT :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엑세스 권한 제공
- REVOKE :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엑세스 권한 철회

TCL

데이터의 보안 / 무결성 / 회복 / 병행 수행제어 등을 정의하는데에 사용된다.
- COMMIT : 트랜잭션(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) 작업 결과 반영
- ROLLBACK : 데이터베이스의 마지막 COMMIT 상태로 복원
- SAVEPOINT : ROLLBACK 시 트랜잭션에 포함된 전체 작업이 아닌 일부 작업만 ROLLBACK하기 위해 지점을 설정
- SET TRANSACTION : 트랜잭션 지정
반응형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