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rt
-
docker-compose.ymlversion: '3.8' # Docker Compose 파일 버전services: postgres: image: postgres:16 # PostgreSQL 최신 이미지 사용 container_name: postgresql-container # 컨테이너 이름을 'postgresql-container'로 지정 environment: POSTGRES_USER: postgres # 슈퍼유저 계정으로 'postgres' 사용 권장 POSTGRES_PASSWORD: 비밀번호 # DB 접속 비밀번호 설정 POSTGRES_DB: 데이터베이스 # 생성할 기본 데이터베이스 이름 설정 ports: - "5432:5432" # 호스..
PostgreSQL - docker compose 파일로 PostgreSQL 디비 실행하기docker-compose.ymlversion: '3.8' # Docker Compose 파일 버전services: postgres: image: postgres:16 # PostgreSQL 최신 이미지 사용 container_name: postgresql-container # 컨테이너 이름을 'postgresql-container'로 지정 environment: POSTGRES_USER: postgres # 슈퍼유저 계정으로 'postgres' 사용 권장 POSTGRES_PASSWORD: 비밀번호 # DB 접속 비밀번호 설정 POSTGRES_DB: 데이터베이스 # 생성할 기본 데이터베이스 이름 설정 ports: - "5432:5432" # 호스..
2024.08.15 -
docker-compose.ymlversion: '3.8'services: redis: image: redis:latest # 최신 Redis 이미지를 사용 container_name: redis-container # 컨테이너 이름을 'redis-container'로 지정 ports: - "6379:6379" # 로컬의 6379 포트를 Redis 컨테이너의 6379 포트에 매핑 volumes: - redis_data:/data # 로컬의 'redis_data' 볼륨을 컨테이너의 /data 디렉토리에 매핑하여 데이터 영속성 유지 environment: REDIS_PASSWORD: 비밀번호 # Redis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할 비밀번호 환경 ..
Redis - docker compose 파일로 redis 디비 실행하기docker-compose.ymlversion: '3.8'services: redis: image: redis:latest # 최신 Redis 이미지를 사용 container_name: redis-container # 컨테이너 이름을 'redis-container'로 지정 ports: - "6379:6379" # 로컬의 6379 포트를 Redis 컨테이너의 6379 포트에 매핑 volumes: - redis_data:/data # 로컬의 'redis_data' 볼륨을 컨테이너의 /data 디렉토리에 매핑하여 데이터 영속성 유지 environment: REDIS_PASSWORD: 비밀번호 # Redis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할 비밀번호 환경 ..
2024.08.15 -
명령어sudo lsof -i :포트번호 | awk 'NR>1 {print $2}' | xargs sudo kill -9# Ex. sudo lsof -i :80 | awk 'NR>1 {print $2}' | xargs sudo kill -9
Linux - 특정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죽이기명령어sudo lsof -i :포트번호 | awk 'NR>1 {print $2}' | xargs sudo kill -9# Ex. sudo lsof -i :80 | awk 'NR>1 {print $2}' | xargs sudo kill -9
2024.06.04 -
명령어# 바인딩 명령어sudo iptables -t nat -A PREROUTING -p tcp --dport 80 -j REDIRECT --to-port 8080# 규칙 삭제 명령어sudo iptables -t nat -D PREROUTING -p tcp --dport 80 -j REDIRECT --to-port 8080주의사항80 포트와 8080 포트가 모두 열려있는지 확인 해야한다.
Linux - 80 포트 접속 시 8080포트로 바인딩, 규칙 삭제명령어# 바인딩 명령어sudo iptables -t nat -A PREROUTING -p tcp --dport 80 -j REDIRECT --to-port 8080# 규칙 삭제 명령어sudo iptables -t nat -D PREROUTING -p tcp --dport 80 -j REDIRECT --to-port 8080주의사항80 포트와 8080 포트가 모두 열려있는지 확인 해야한다.
2024.05.28 -
1. 자주 사용하는 location 객체 // Ex) https://test.com:80/newpost?type=post window.location.href // Ex) https: window.location.protocol // Ex) test.com:80 window.location.host // Ex) test.com window.location.hostname // Ex) 80 window.location.port // Ex) newpost window.location.pathname // Ex) ?type=post window.location.search 2. 참고 https://hianna.tistory.com/464
js - 현재 페이지 url 관련 (location 객체)1. 자주 사용하는 location 객체 // Ex) https://test.com:80/newpost?type=post window.location.href // Ex) https: window.location.protocol // Ex) test.com:80 window.location.host // Ex) test.com window.location.hostname // Ex) 80 window.location.port // Ex) newpost window.location.pathname // Ex) ?type=post window.location.search 2. 참고 https://hianna.tistory.com/464
2024.02.29